Post

PostgreSQL Shared Buffer Mechanism

사내 스터디에서 PostgreSQL9.6 성능이야기 책을 참고하여 학습 후 정리한 글입니다.

Shared Buffer 구조

Shared Buffer의 구성 요소

Shared Buffer 를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4가지 (해시 테이블, 해시 테이블에 딸린 해시 엘리먼트, 버퍼 상태를 관리하는 버퍼 디스크립터, 실제 블록을 저장하는 버퍼 풀) 이다.

해시 테이블

PostgreSQL은 메모리 내의 버퍼를 관리 (검색, 입력)하기 위해 해시 테이블을 사용하며, 해시 충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Segmented 해시 테이블을 사용한다.

Segmented 해시 테이블

  • Segment : 해시 테이블을 논리적으로 나누는 단위이다.
  • Directory : N개로 나눈 각 세그먼트의 시작 위치를 가리키는 배열이다.
  • Bucket : 각 세그먼트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은 단위이다. 해시 세그먼트 1개는 256개의 버킷으로 구성된다.

버퍼 파티션이란?

앞서 언급한 디렉토리, 해시 세그먼트, 해시 테이블은 Shared Buffer 내에 존재하는 공유 리소스이다. 공유 리소스는 LW (Light Weight) 락을 이용해 보호한다. LW 락은 차후에 설명한다.

PostgreSQL은 LW 락 경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시 테이블을 N개의 버퍼 파티션으로 나누고 버퍼 파티션마다 1개의 LW 락을 할당한다.

이 때 버퍼 파티션의 개수는 NUM_BUFFER_PARTITION 변수로 설정할 수 있다. (9.4 버전까지 버퍼 파티션 개수는 16개 였으나 9.5 버전부터는 128로 상향 조정되었다,)

해시 엘리먼트

해시 엘리먼트는 엘리먼트엘리먼트 키로 구성된다.

해시 엘리먼트 메모리 구조는 DB 시작 시점에 일정 개수 ( 버퍼 수 + NUM_BUFFER_PARTITIONS 개의 해시 엘리먼트 배열 ) 만큼 미리 할당한다.

해당 해시 엘리먼트 배열을 관리하는 것은 freeList이다.

엘리먼트 키

  • 엘리먼트 키는 BufferTag 구조체버퍼 디스크립터 배열 인덱스로 구성된다.
  • BufferTag 구조체는 RelFileNode 구조체, forkNum, blockNum으로 구성된다.
    • BufferTag란 클러스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각 블록의 고유 식별자이다.
    • RelFileNode은 유일한 오브젝트 번호를 저장한다.
    • forkNum은 오브젝트 유형 (테이블 또는 인덱스 -> 0 , FSM -> 1 , VM -> 2)
    • blockNum은 블록 번호

엘리먼트

엘리먼트는 Next 엘리먼트를 가리키는 엘리먼트 포인터hashvalue(BufferTag를 이용해서 계산한 값)로 구성된다.

freeList

해시 엘리먼트 배열을 관리하는 구조체이다.

freeList 개수는 NUM_FREELISTS로 설정할 수 있으며 기본 설정 값은 32이다. 만약 Shared Buffer 가 1GiB 라면 해시 엘리먼트 배열은 132,000개가 되고 1개의 freeList 마다 4100개의 해시 엘리먼트를 관리하게 된다.

버퍼 디스크립터

버퍼 디스크립터는 버퍼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구조체이다.

  • tag : BufferTag 를 저장한다
  • buf_id : 실제 버퍼가 저장된 버퍼 풀 배열 내의 인덱스 번호이다.
  • wait_backend_pid : 버퍼를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버퍼 PIN이 필요한데 해당 칼럼은 버퍼 PIN을 대기하는 프로세스 ID를 제공한다.
  • context_lock : 버퍼를 액세스할 때 필요한 LW 락이다.

Spin 락과 LW 락

Shared Buffer를 액세스할 때는 Spin 락과 LW 락을 획득해야 한다.

스핀락

  • 락을 얻을 때까지 계속 무한 루프(스핀)를 돌면서 대기한다.
  • 다른 스레드나 프로세스를 대기시키지 않고 빠르게 락을 얻을 수 있고 Sleep 상태로 빠지지 않으므로 Context Switching 이 발생하지 않는다.

LW 락

  • LW 락의 종류
    • 공유 락 (Shared Lock): 여러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동시에 읽기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락
    • 배타 락 (Exclusive Lock):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나 스레드만 쓰기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락
  • LW 락 경합이란?
    • 여러 스레드나 프로세스가 동일한 리소스에 접근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현상을 뜻한다.
    • LW 락 경합이 발생하면, 각 스레드나 프로세스는 해당 리소스에 대한 LW 락을 획득하기 위해 경쟁하게 된다.
    • 하나의 스레드나 프로세스가 이미 LW 락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다른 스레드나 프로세스는 그 LW 락을 획득하기 위해 대기 상태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경합 상태라고 한다.

Shared Buffer 내에 있는 블록을 읽는 경우

  1. BufferTag 생성:
    1. 해당 BufferTag를 이용하여 hashvalue를 계산
    2. 계산된 hashvalue를 이용하여 버퍼 파티션 번호를 계산
  2. LW 락 획득:
    1. 계산된 버퍼 파티션에 대한 LW 락을 Shared 모드로 획득
  3. 해시 테이블에서 Tag 찾기:
    1. hashvalue를 이용하여 해시 테이블의 버킷 번호를 계산
    2. 계산된 버킷 번호를 해시 세그먼트 번호와 인덱스 번호로 치환
    3. 해시 체인을 따라가면서 BufferTag를 찾음
  4. 버퍼 디스크립터 배열 인덱스 설정:
    1. 찾은 BufferTag의 버퍼 ID를 확인하여 버퍼 디스크립터 배열에서 해당 인덱스에 PIN을 설정
  5. LW 락 해제:
    1. 버퍼 파티션에 대한 LW 락을 해제
  6. 버퍼 내용 읽기:
    1. 버퍼 풀 배열 인덱스 내용을 읽음.
  7. PIN 해제:
    1. 버퍼 디스크립터 배열에서 인덱스에 대한 PIN 해제

Disk Read가 발생하는 경우

Shared Buffer 내에 존재하지 않는 블록을 읽기 위해서는 Disk Read 를 통해 해당 블록을 Shared Buffer로 로딩한 후 해당 버퍼를 읽는다.

Shared Buffer 내에 있는 블록을 읽는 경우와 동일하게 진행되지만 3-3 에서 BufferTag를 찾지 못해 검색에 실패하고 LW 락을 해제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